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너구리의 특징

by 오늘도 이득 2021. 9. 22.

 

너구리는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개과 너구리 속의 포유동물이며 학명은 니크테레우테스 프로 키오 노이 데스이고 너구리 속의 동물 중 현재까지 생존하고 있는 유일한 종이며 가장 가까운 동물은 여우 다이고 아메리카 너구리(라쿤)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계통적으로는 서로 멀며 서양에서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침입종으로 여겨진다.

Photo by Joshua J. Cotten on Unsplash

너구리 특징

 

1928년에서 1958년까지 1만 마리의 우수리너구리가 소련의 76개 행정구역에 도입되었으며 모피 산업을 진흥하기 위해서였고 처음으로 도입된 곳은 러시아 극동 지역의 연해주였는데 동해의 섬들을 통해서 들어왔고 1934년까지 너구리는 알타이 캅카스 북부 아르메니아 키르기스 타타르스탄 트베르 펜자 오렌부르크에까지 도입되었고 이듬해에는 레닌그라드스키 무르만스크 노보시비르스크 바시코르토스탄까지 도입되었으며 이르쿠츠크 노보시비르스크 자바이칼스키 알타이에 도입된 너구리들은 혹독한 추위와 부족한 먹이 때문에 잘 되지 못했다. 또한 캅카스와 중앙아시아 몰도바 지역의 산악지역에도 너구리들은 적응하지 못했다.

 

 

그러나 발트 3국과 유럽러시아 흑토지대 볼가강 하류 그리고 북캅카스와 다게스탄의 평탄한 지역들에서는 성공적으로 정착했고 우크라이나에서는 폴타바 페르손 루한스크 일대에 큰 수의 너구리 개체군이 만들어졌으며 1948년 35마리의 너구리가 라트비아에 도입되었고 그 뒤 개체수가 빠르게 불어나 1960년 라트비아에서 공식 추산하기로 4,210 마리의 너구리가 사냥되었으며 이제 너구리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전역에 널려 있으며 멀리는 불가리아 세르비아 프랑스 폴란드 체코 벨라루스 루마니아 몰도바 헝가리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이탈리아 스위스 독일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에서도 발견되었다.

 

 

덴마크에서는 2015년까지 너구리 번식 제로를 목표로 삼고 있으며 하지만 2018년 들어 너구리는 윌란반도에 완전히 눌러앉았고 앞으로의 방제는 발트해의 덴마크령 섬들로 퍼지는 것을 막는 데 주력하기로 했고 너구리 두개골은 남미 지역의 여우류 특히 게잡이 여우를 닮았고 하지만 유전학적 연구 결과 서로 큰 관련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너구리 두개골은 작지만 다부지고 약간 길쭉하고 입은 좁다.

 

 

돌기가 잘 발달했으며 잡식성인 탓인지 너구리는 개과동물 치고 견치가 작은 편이며 열육 치도 약하고 구치는 평평하고 창자가 다른 개과에 비해 1.5-2배 길며 몸통은 길고 다리는 짧고 신장은 45-71 cm다. 꼬리는 12-18 cm로 신장의 3분의 1 이하에 불과해 짧아서 중족 근골 관절 위까지만 내려오고 땅에 끌리지 않으며 귀도 작으며 털가죽 사이로 살짝만 튀어나와 있고 체중은 계절에 따라 달라지며 3월에는 3 kg 정도이고 8월에서 9월 초에 걸쳐서는 수컷 체중이 평균 6.5-7 kg으로 불어나고 간혹 최대 9-10 kg에 달하는 개체도 나오며 일본과 러시아에서 연구된 개체들이 중국에서 연구된 것보다 평균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 털은 길고 두텁고 속털이 빽빽하게 나고 성긴 겉 털은 길이가 120 mm 정도이며 이 겨울 털 덕에 너구리는 영하 20-25 ℃의 저온을 견딜 수 있고 털 색은 흙색 또는 회갈색이며 겉 털은 검은데 꼬리가 몸통보다 어두우며 등에는 검은 줄무늬가 있는데 어깨 부위에서 무늬가 넓어져서 십자가 같은 모양을 만들고 배는 황갈색이고 가슴은 암갈색 또는 검은색이고 주둥이는 짧은 털로 덮여 있고 눈 쪽으로 갈수록 얼굴 털이 길어지며 뺨에는 긴 동모가 있고 여름 털이 겨울 털보다 밝으며 붉은 끼 도는 담황색을 띠며 일본과 중국에서는 드물게 흰 털이 발견되기도 한다 너구리는 잡식성으로 곤충 설치류 양서류 조류 어류 파충류 연체동물 부육 식물 가리지 않고 먹는다.

 

 

설치류의 경우 늪지대에서는 물밭쥐 아스트라한 같은 평지에서는 저빌이 주된 먹이가 되며 양서류 중에서는 개구리를 가장 잘 먹으며 보로네시에서는 무당개구리 우크라이나에서는 쟁기 발 개구리를 먹는다는 보고가 있고 너구리는 엄청난 양의 타액을 분비하여 두꺼비 독을 희석시켜 두꺼비도 잡아먹는데 조류의 경우 기러기나 참새목 연작류를 노리며 침입종으로 들어간 서양에서는 기러기를 가장 흔하게 사냥한다고 하며 우수리강 유역에서는 꿩을 주로 사냥하고 어류의 경우 물가로 떠밀려 온 것을 주워 먹거나 작게 고여 있는 물에 갇힌 물고기를 사냥하는데 산란기에는 거의 물고기를 잡지 않으며 봄 해동기에 주로 물고기를 잡는다.

 

 

남쪽 서식지에서는 어린 땅거북과 그 알을 먹기도 하며 땃쥐 고슴도치 같은 소형 충식성 포유류도 사냥감이며 두더지류도 드물지만 사냥하고 우수리강 유역에서는 두더지가 주된 먹이이며 식물성 먹이는 알뿌리 토마토 등 너무 많아서 헤아릴 수도 없고 일본에서는 발톱을 사용해 나무를 타고 올라가 열매를 따먹는다는 관측 사례가 있으며 너구리는 계절에 따라 식성을 바꾸고 늦가을과 겨울에는 주로 설치류 부육 분변 같은 것을 주로 먹고 봄에는 과일 곤충 양서류를 주로 먹는다.

 

 

너구리는 여름에는 설치류는 덜 먹고 새와 과일 곡류 채소를 주로 먹으며 너구리의 가장 큰 천적은 늑대이고 늑대는 봄과 여름에 많은 수의 너구리를 죽이며 가을에도 죽였다는 보고가 있을 정도이고 타타르스탄에서는 너구리의 사망원인 중 늑대에게 잡아먹힌 것이 55.6%를 차지하며 러시아 서북부에서는 64%까지 올라가게 될 정도이며 붉은여우도 너구리 새끼를 잡아먹으며 너구리 성체를 물어 죽일 수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

 

 

끝으로 여우와 오소리는 너구리와 먹이를 두고 다투는 사이이며 자신의 굴에 들어온 너구리를 죽일 수 있으며 스라소니는 너구리를 공격한 사례가 드물정도이고 너구리를 사냥하는 맹금류로는 검독수리 흰 꼬리 수리 보라매 수리부엉이 등이 있다고 알고 있으면 좋다.

댓글